듀피젠트는 등장과 함께 아토피 피부염 치료 패러다임을 변화시켰다는 평가를 받는 혁신적 치료제입니다.
자살까지도 고려할 만큼 심각한 수준으로 삶의 질을 위협하는 질환이었던 중증 아토피로 인해 고통받던 환자들에게 듀피젠트의 등장은 혁신 그 자체였으며, 무엇보다도 부작용이 없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듀피젠트 치료제의 효과 및 급여 적용 기준 등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듀피젠트 Dupixent 급여 적용 기준
현재 국내 아토피피부염 치료 가이드라인을 살펴보면 중증도-중증 아토피 피부염 환자를 위한 적극적 치료 옵션으로 듀피젠트를 사용하도록 권고되고 있을 만큼 그 효과가 증명되었습니다.
2020년부터는 건강보험 급여로 적용되었고, 2023년 4월 1일부터는 만 6세 이상 소아와 12세 이상 청소년까지 건강보험 급여 기준이 확대되어 더 많은 환자들이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만 6~11세 소아의 경우, 아토피피부염 증상이 1년 이상 지속되는 만성 환자이며, 습진중증도평가지수 (EASI) 21 이상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1차 치료에서 4주 이상, 중증도 이상 국소치료제를 투여하였음에도 적절히 조절되지 않거나 부작용이 발생한 경우에 급여 적용이 가능합니다.
(*국소치료제: 중등도 이상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칼시뉴린 저해제)
만 12세 이상 청소년 및 만 성인의 경우, 아토피피부염 증상이 3년 이상 지속되는 만성 환자이며, 습진중증도평가지수 (EASI) 23 이상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1차 치료에서 4주 이상, 중증도 이상 국소치료제를 투여하였음에도 적절히 조절되지 않거나 부작용이 발생한 경우, 그리고 전신면역억제제를 3개월 이상 사용한 이후에도 ESAI 50% 이상 감소반응이 없을 경우 급여 적용이 가능하니 꼭 알아보시고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중요! 보험 급여 혜택을 지속하려면
14주 투여 후 16주 차에 진행되는 최초 반응평가에서 EASI가 75% 이상 감소한 것으로 평가되어야 6개월 추가 투여 인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후 6개월마다 재평가를 통해 최초 평가 결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보험 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1) 1차 국소치료제 투여 이후 전신면역억제제 투여 이력 없이 바로 듀피젠트를 투여할 경우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해야 합니다.
2) 단, 신부전, 비조절성 고혈압, 비조절성 감염증, 악성종양, 중증 간질환 등 의학적인 이유로 전신면역억제제 투여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EASI 등 조건 만족 시 급여 인정이 가능합니다.
# Q & A / 자주 하는 질문
1. 1년 혹은 3년 이상 증상이 지속되는 만성 환자임을 어떻게 확인하나요?
진료기록부 등을 통해 듀피젠트 투약개시일 기준으로 1년 혹은 3년 이전에 아토피피부염으로 진단된 과거력을 확인합니다.
2. 휴약 후 재투여 시에도 급여 인정 되나요?
의학적 사유 등으로 휴약 후 재투여할 경우에는 아래의 각 요건에 따라 인정여부가 결정됩니다.
1) 최초 반응평가(16주째) 실시 이전에 휴약 한 환자의 재투여는 최초 투여 인정기준에 해당 시 인정됩니다.
2) 최초 반응평가(16주째) 후 지속투여 중인 환자가 휴약한 경우, 휴약기간이 3개월 미만이면 연속 투여로 인정됩니다.
3) 반대로 휴약기간이 3개월 이상이면 최초 투여 인정기준에 해당 시 인정됩니다.
3. 약값 전액 본인부담으로 듀피젠트를 투여 중이던 만 12세 이상 청소년 환자가 성인(만 18세)이 된 경우에는?
식약처 허가사항 변경 이후 (2020.4.1) 약제를 투여 중인 만 12세 이상 청소년 환자가 듀피젠트주 최초 투여 시작 시점에 현행 '투여대상'을 만족한 경우, 성인(만 18세)이 됐을 때 '투여대상'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4. 급여개시일 전 EASI 검사를 받지 않고 전신면역억제제 투여를 받았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아토피피부염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지표 기록 (IGA, SCORAD)를 통해 반응평가를 할 수 있습니다.
# EASI 습진중증도평가지수란?
아토피피부염의 중증도는 경증, 중등중, 중증으로 나뉘며, EASI (Erythema Area and Severity Index)라는 평가지수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EASI 지수는 병변의 홍반, 구진(작은 발진), 긁은 상처, 태선화(두껍고 거칠어짐) 등 4개 항목의 중증도를 0~3점으로 점수를 매겨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EASI 지수는 신체의 부위별로 아래와 같이 가중치를 두어 평가합니다.
부위별 병변의 크기와 상태에 따라 점수와 가중치를 고려하여 합산한 점수에 따라 경증, 중등증, 중증으로 나눕니다.
1~16점은 경증, 16~23점은 중등증, 23점 이상은 중증으로 분류됩니다.
나의 아토피피부염 중증도 체크하기
나의 아토피피부염 체크해보기
중증 아토피피부염, 아토피피부염, atopy inside, 아토피인사이드, 아토피피부염 중증도, 사노피아벤티스, 사노피, Sanofi, 스테로이드, 아토피피부염 환자, 아토피피부염의 삶, 아토피피부염 치료,
www.atopy-inside.co.kr
'L I F E > 건 강 한 삶 + T I P'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자기 허리가 아플 때, 응급여부 및 집에서 할 수 있는 셀프케어 알아보기 (10) | 2024.02.21 |
---|---|
여드름 흉터 고민이신가요? 여드름 흉터 연고 종류와 추천 (31) | 2024.02.17 |
감기와 독감, 코로나 차이점, 증상이 비슷한데 어떻게 구분하나요 (21) | 2024.01.26 |
타이레놀과 애드빌, 어떻게 다른걸까? 해열진통제 vs 소염진통제 안전하게 복용하기 (34) | 2024.01.19 |
지긋지긋한 여드름과 이별하기, 여드름 크림의 종류와 사용법, 효과 (여드름 치료제 Best 5) (8) | 2024.01.12 |